안녕하세요. 신문읽는 맹고📚입니다.
부동산 실거래가에 대한 제도가 변경된 거 알고 계신가요? 2020년 정책을 짤막하게 정리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요. 거기에 잠깐 언급한 기억이 납니다.
오늘은 부동산 실거래가의 변경내용과 확인하는 방법, 한눈에 볼 수 있는 어플까지 추천해드릴게요.
[세상 읽기] 2020 부동산정책, 200초만에 알아봅시다.
안녕하세요 신문읽는 맹고📚입니다. 오늘은 부동산 정책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하도 많아서 저도 머리가 아프더군요.. 바로 시작하겠습니다. 1. 고가 1주택자 장기보유특별공제 요건 강화 원래는 10..
rin-go77.tistory.com
1. 변경된 제도
-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기한이 60일에서 30일로 단축.
- 계약해제에 대해서 확정된 날로부터 30일 내에 신고 의무화
- 허위 계약으로 신고를 한 경우 금지 규정 마련
2번 계약해제에 대한 신고는 2020년 2월 21일부터 체결되는 계약에 한해서만 적용됩니다. 또한 신고의 의무는 거래당사자에게 있습니다. 공인중개사가 실거래 신고를 한경우, 해제 신고도 할 수 있습니다. 만약 공인중개사가 해제 신고를 안 했다면 그 책임은 거래당사자에게 있으므로 신고지연에 따른 과태료 부과가 됩니다.
2. 부동산 실거래가 확인하는 법
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상단에 주택 분류 및 상가와 토지가 있습니다. 그걸 클릭하시면,
저는 아파트를 클릭했습니다. 좌측 검색란에 찾고 싶은 지역을 선택합니다. 지도에서 구체적인 아파트명이 나옵니다.
저는 '주공 9'를 눌렀습니다.
정말 구체적으로 나옵니다. 면적, 계약일, 층수 등 필요한 내용이 모두 나옵니다.
보통 부동산 정보는 지도를 봐야 하기 때문에 작은 휴대폰보단 넓은 데스크톱을 선호한다 합니다. 하지만 요즘은 부동산 어플도 잘 나와있어서 제가 쓰는 어플 2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3. 실거래가 추천 어플
1. 밸류맵
밸류맵 어플을 다운받아 키면 지도가 바로 나옵니다. 실거래가가 바로바로 나오니 속이 시원하네요. 또한 중개인도 나와서 문의할 때 편할 것 같습니다. 상단의 필터를 누르시면,
지목, 용도지역, 가격, 거래 연도 등을 조정할 수 있어 최근 거래가를 알 수 있습니다.
보고 싶은 물건을 클릭하면 구체적인 단가와 관련 정보들이 나옵니다.
등기 열람을 원한다면 로그인을 하시고, 등기열람 요청을 하면 메일로 안내가 됩니다. 일일이 안 찾아보고 등기요청만 하면 되니까 간편합니다.
그리고 가장 맘에 들었던 부분은 개발정보입니다. 해당 물건과 관련되어있는 개발사업을 한눈에 정리해줘서 나중에 호재가 있을지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.
2. 호갱노노
호갱노노도 유명한 어플입니다. 개인적으로 실수요자들에게 꼭 필요한 어플 같아서 추천드립니다. 실거래가를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 이건 사실 밸류맵과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.
해당 물건에 들어가면 가상 자본으로 대출금까지 파악 가능합니다.
또한 3D 일조량을 볼 수 있어서 햇빛이 잘 들어올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일조량 무시 못하는 게, 저도 예전에 살았던 집은 층수가 중층이었는데도 옆 동에 가려 햇빛이 안 들어오더라고요. 그게 얼마나 답답하던지..
그 외 주차장 공간, 가까운 학군(유초중고), 대중교통, 편의시설 등 직접 살아봐야지만 알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. 실거주자들에겐 호갱노노를 더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.
지금까지 부동산 실거래 변경제도와 조회법, 추천어플을 살펴봤습니다.
'블로그로 보는 뉴스칼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기지역화폐] 올리브영도 적용됩니다. 확인 해보세요! (0) | 2020.08.02 |
---|---|
코로나가 사라져도 변하지 않을 두가지는? (0) | 2020.08.01 |
[경기지역화폐] 재난소득 사용처 정확히 알아봐요. (0) | 2020.07.30 |
갭투자가 뭐지? 정확히 알려드릴게요. (0) | 2020.07.29 |
안전자산 금(金)이 돌아온다. 금투자하는법 (0) | 2020.07.27 |
댓글